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

외환시장 안정의 열쇠, 한·미 통화스와프 재가동될까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선을 위협하며 금융시장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미국의 금리 정책,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이 맞물리면서 원화 가치가 쉽게 안정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정부와 한국은행은 미국 연준과의 통화스와프 확대를 적극 검토하며 외환시장 안정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과거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통화스와프가 시장 불안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바 있어, 이번 협상 결과에 투자자와 기업, 일반 국민 모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렇다면 통화스와프는 무엇이며, 한국이 왜 다시 이 카드를 꺼냈는지, 그리고 재가동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짚어보자. 1.통화스와프란 무엇인가: 달러 유동성의 안전판통화스와프는 양국 중앙은행이 서로의 통화를 일정 한.. 2025. 9. 28.
생산적 금융의 부활, 왜 지금 STO인가? 금융시장은 늘 새로운 변화의 파도를 타고 움직여왔다. 과거에는 은행 대출과 주식·채권이 기업 자금조달의 주된 수단이었지만, 이제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토큰증권(Security Token Offering, STO) 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생산적 금융’이라는 오래된 화두를 다시 소환하고 있다는 점에서 STO의 등장은 특히 의미가 크다. 왜 지금, 그리고 왜 STO인가? 1.생산적 금융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생산적 금융은 이름 그대로 경제의 생산적인 부문에 자금을 흘려보내는 금융 활동을 뜻한다. 쉽게 말해, 기업이 새로운 설비를 도입하거나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등 장기적 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는 곳에 돈이 흘러가는 것이다.그러나 지난 수십 년간 한국.. 2025. 9. 23.
원/달러 환율 출렁일 때, 한국은행은 왜 금리를 쉽게 못 내릴까? 1.환율과 금리의 밀접한 연결고리경제를 바라볼 때 환율과 금리는 따로 떼어 설명하기 어려운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한국처럼 대외 의존도가 높은 경제에서는 원/달러 환율 변동이 금융정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금리는 본래 국내 물가 안정, 경기 조절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쓰인다. 하지만 국제 자본 흐름과 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는 금리 결정이 단순히 국내 변수만 고려해서 내려지기 어렵다.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물가 안정이나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려고 할 때, 만약 원화 가치가 이미 크게 떨어져 있다면 상황은 복잡해진다. 금리를 내리는 순간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원화 자산의 매력이 줄어들고, 자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진다. 이렇게 되면 원화 환율이 더 약세로 기울어 달러당 원화.. 2025. 9. 21.
25bp 금리 인하 투자자에게는 어떤 의미일까? 25bp의 의미1bp = 0.01%p (퍼센트포인트)따라서 25bp = 0.25%p (퍼센트포인트) 를 뜻합니다.즉, 금리가 3.00%에서 25bp 올랐다면 → 3.25%가 되고,반대로 25bp 내렸다면 → 2.75%가 되는 거예요 금융시장에서 25bp(0.25%p)는 숫자로 보면 작은 변화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은 단순한 수치의 변화가 아니라, 경제와 투자 시장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집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5bp 내릴 경우, 이는 경기 부양 의지와 동시에 물가·환율·투자심리에 직결되는 중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리 인하가 투자자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2025. 9. 19.
미 연준, 올해 첫 25bp 인하…무슨 뜻이고 무엇이 달라지나 미 연준, 올해 첫 25bp 인하 무엇이 달라지나1. 무엇이 결정됐나: 기준금리 4.00~4.25%…“균형의 변화에 따라”미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17일 기준금리를 0.25%p 낮춰 연방기금금리 목표범위를 4.00~4.25%로 조정했습니다. 성명은 “리스크의 균형 변화에 비추어” 인하 결정을 내렸다고 밝히고, 향후 추가 조정은 들어오는 데이터·전망·리스크의 균형을 면밀히 보며 판단하겠다고 못박았습니다. 자산축소는 계속됩니다.정책 집행 세부안도 함께 나왔습니다. 하루짜리 역레포 금리는 4.00%, 스탠딩 레포 최소 입찰금리는 4.25%, 단기금리 유도를 위한 시장운영 가이던스가 업데이트됐습니다. 요컨대 목표범위 하향에 맞춰 단기유동성 시설 금리도 일제히 하향 조정된 셈입니다.이번 인하는 2025년 .. 2025. 9. 18.
고금리 시대, 예금 적금으로도 이기는 투자 전략 고금리 시대, 예·적금으로도 이기는 투자 전략 세계 경제가 고금리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투자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전통적인 투자 수단은 변동성이 크고, 언제 조정이 올지 알 수 없습니다. 반면 예·적금은 안정적이지만 ‘큰돈을 벌 수 없다’는 인식 때문에 외면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기준금리가 높아진 시기에는 예·적금조차도 훌륭한 투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은행에 돈을 넣어두는 것 이상의 전략적 활용법이 있다면, 고금리 시대에도 충분히 ‘이기는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죠.이 글에서는 ① 고금리 환경에서 예·적금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 ② 예·적금 상품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③ 장기적 관점에서 예·적금과 다른 투자 수단을 병행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살펴보.. 2025.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