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누가 가입할 수 있을까?
기본 자격 요건 희망저축계좌의 가입 조건은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층 가구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이 요건: 만 15세 이상 만 64세 이하의 근로 가능자
◎ 근로 형태: 정규직, 아르바이트, 자영업 등 소득 증빙이 가능한 모든 형태
◎ 가입 기간: 3년간 매월 저축을 유지해야 하며, 중도 해지 시 지원금 회수 가능
◎ 가구 단위: 개인이 아닌 가구 단위로 소득·재산 기준이 적용됩니다. 또한, 수급 형태에 따라 유형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 Ⅰ형: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중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가구
◎ Ⅱ형: 차상위계층 및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등
◎ 청년형: 만 15~39세 이하의 청년 중 일정 소득 이하 가구 구성원 이처럼 유형이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주민센터나 복지포털을 통해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소득 기준은어떻게 정해지나요?
희망저축계좌의 가장 중요한 요건은 소득 기준입니다.
이는 ‘가구의 월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 이하인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희망저축계좌Ⅰ: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 희망저축계좌Ⅱ: 기준 중위소득의 50~100% 이하
◎ 청년형: 본인 포함 가구의 중위소득 100% 이하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4인 가구의 중위소득이 약 590만 원이라면, Ⅱ형의 경우 가구 총소득이 약 59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단순히 근로소득뿐 아니라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까지 모두 합산됩니다. 즉, 아르바이트비·소규모 사업 수입·연금·양육비 등도 포함되어 계산된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소득 산정 시에는 최근 3개월 동안의 소득 증빙자료(급여명세서, 통장 입금내역, 사업소득 신고서 등)가 필요하며, 기준을 초과하면 가입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신청 전, 복지로(www.bokjiro.go.kr )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구소득 기준표’와 본인 소득 수준을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3.재산 기준과 유지 조건
‘목돈 만들기’의 문턱 희망저축계좌는 단순히 소득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재산 기준도 함께 적용합니다. 이는 정부 지원이 실질적으로 재정 여건이 어려운 가구에게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재산 기준: 대도시 2억 원 이하 중소도시 1억 3,500만 원 이하 농어촌 1억 1,800만 원 이하 이 금액은 부동산·자동차·금융자산 등을 모두 포함한 총 재산액으로 산정됩니다. 다만, 실제 거주 중인 주택이나 생계용 차량(일정 가격 이하)은 일부 제외되기도 합니다. 가입 후에도 3년간 근로소득 유지 및 매월 저축 지속이 필수입니다. 중도에 해지하거나 근로가 단절될 경우, 정부의 적립금이 회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혜택을 받는 제도라기보다는 **‘꾸준한 근로와 저축 습관을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립역량 교육 이수, 자금 사용 계획서 제출 등이 의무화되어 있는 지역도 있습니다. 이 과정을 성실히 이행해야 만기 수령 시 전액 지원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4. 희망저축계좌란 무엇인가요?
희망저축계좌는 정부가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층 가구의 자립을 돕기 위해 만든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쉽게 말해, 열심히 일하면서도 목돈을 만들기 어려운 분들이 저축하면 정부가 함께 넣어주는 제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희망저축계좌Ⅰ, 희망저축계좌Ⅱ, 청년형 희망저축계좌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유형마다 지원 대상과 조건이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희망저축계좌Ⅰ은 생계급여나 의료급여 수급자 등 매우 저소득층이 주 대상이며, Ⅱ형은 근로빈곤층이나 차상위계층처럼 조금 더 넓은 범위의 취약계층이 해당됩니다. 가입자가 매달 일정 금액(보통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근로소득장려금 형식으로 추가 적립금을 넣어줍니다. 3년간 성실히 유지하면 최대 1,44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한 저축이 아니라 근로 의욕을 높이고 자립을 돕는 사회안전망으로 설계된 제도입니다.
희망저축계좌는 단순한 복지 혜택을 넘어, “열심히 일하는 사람에게 다시 일어설 기회를 주는 사회적 안전망”입니다. 하지만 소득·재산 기준이 까다롭고, 3년간의 꾸준한 유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을 충분히 검토한 뒤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민센터, 복지로, 또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희망저축계좌Ⅱ 모집 공고'를 확인하시면 신청 기간과 세부 요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그 과정을 잘 통과하면 3년 뒤에는 정부와 함께 만든 든든한 자립자금이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연준, 올해 첫 25bp 인하…무슨 뜻이고 무엇이 달라지나 (0) | 2025.09.18 |
---|---|
부동산 거품 뒤에 숨어 있는 서버 팜 투자 기회 (2) | 2025.09.13 |
주식시장 외면 2030세대가 찾은 새로운 투자처 TOP 3 (0) | 2025.09.11 |
아이돌 양성 시스템 기업은 어떻게 돈을 벌까? (1) | 2025.09.08 |
반려동물 시장의 미래, AI와 로봇 돌봄 서비스까지 (1) | 202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