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6년 창업 단계별 지원사업 총정리

얼리두잉 2025. 11. 13. 19:39

2026년은 정부가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가장 큰 폭으로 지원을 확대하는 해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을 중심으로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 △도전! K-스타트업이 단계별로 운영되며, 모든 프로그램은 K-Startup에서 통합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각 사업의 특징과 함께 추가로 꼭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자료·문의처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 1인 기업 전용 인큐베이팅

중소벤처기업부는 「1인 창조기업 육성법」 제2조에 따른 (예비) 1인 창조기업을 위해 전국 단위의 지원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1인 기업이 사업을 안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사무공간·멘토링·교육·판로 지원을 제공하며, 현재 약 40개 내외 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 어떤 사람에게 적합할까?

⊙프리랜서 → 사업자로 전환하려는 사람

⊙ 1인 지식서비스업/콘텐츠 창작자

⊙ 소규모 아이디어 기반 창업 예정자

⊙ 공유오피스 + 멘토링이 필요한 예비창업자

 

✔ 추가로 보면 좋은 사이트

⊙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통합포털:
https://www.1inbiz.or.kr

→ 지역별 센터 찾기 / 입주 신청 / 교육 신청

⊙ 중소벤처기업부 공지사항:
각 센터 모집 공고 확인 가능

⊙ 기업마당(정부지원사업 통합):
https://www.bizinfo.go.kr

→ 1인 창조기업 관련 바우처·행사·교육 공고 연계

⊙ K-스타트업:
https://www.k-startup.go.kr

→ 센터별 연계 지원 프로그램 접수

 

 

2. 예비창업패키지 — 사업자등록 전 예비창업자 대상

혁신적 기술 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에게 초기 사업화 자금과 교육·멘토링을 제공하는 가장 대표적인 국가 창업지원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 대상: 공고일 기준 사업자등록 없는 예비창업자

⊙ 지원 규모: 약 748명 / 총 490억 원

⊙ 모집 시기: 2026년 1월 예정

⊙ 지원 내용: 사업화 자금, 교육·멘토링, 전문가 자문, 네트워킹 등

 

✔ 어떤 사람에게 적합할까?

⊙ 기술 기반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

⊙ MVP 제작이 필요한 초기 단계

⊙ 앱/솔루션/AI/제조/바이오 등 기술 분야

 

추가로 보면 좋은 사이트

⊙ 예비창업패키지 공고 모음(K-스타트업):
https://www.k-startup.go.kr

⊙ 창업진흥원 – 예비초기팀:
⊙ 사업 공고 및 Q&A 자료 업데이트

⊙ 창업에듀(창업 교육 플랫폼):
https://www.entreedu.kr

→ 패키지 선정 전에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창업 교육’ 과정 제공

⊙ IP디딤돌 지식재산 교육:
특허·상표 확보가 필요한 예비창업자 추천

 

3. 초기창업패키지 — 창업 3년 이내 기업 대상

초기창업패키지는 업력 3년 이내 기업의 시장 진입과 성장을 돕기 위한 대표 사업입니다.

 

⊙ 지원 대상: 창업 3년 이내 기업

⊙ 지원 규모: 약 490개사 / 455억 원

⊙ 모집 시기: 2026년 1월 예정

⊙ 지원 내용: 사업화 자금, 전문가 자문, 맞춤형 성장 프로그램

 

✔ 어떤 기업에 적합할까?

⊙ 이미 사업자등록을 한 초기 기업

⊙ 매출이 없거나 초기 매출만 있는 기업

⊙ 시제품 보완·고도화가 필요한 스타트업

⊙ 업그레이드·스케일업 단계 진입 준비 기업

 

✔ 추가로 보면 좋은 사이트

⊙ 초기창업패키지 운영기관 리스트(K-스타트업 공고에서 매년 발표)
 대학·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기관별 특화 분야 확인 가능

⊙ 창업진흥원 –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KISED

→ 패키지 사업 소개, 선정 노하우 영상

⊙ 기업마당(정부지원사업 검색):
⊙ R&D·수출지원 등 초기기업 연계 사업 필수 확인

⊙ 중소기업 정책자금(중진공):
초기 기업 대상 융자·보증 연계 가능

 

 

4. 도전! K-스타트업 — 국내 최대 창업경진대회

부처 합동으로 열리는 국내 최대 기술창업 경진대회입니다.
아이템을 가진 예비창업자나 창업 3년 이하 기업을 선발하여 상금·후속지원·홍보 효과를 제공합니다.

 

⊙ 지원 규모: 약 20개 팀 / 예산 20억1500만 원

⊙ 지원 대상: 예비창업자(팀), 창업 3년 이내 기업 대표

⊙ 모집 시기: 2026년 1월 예정

⊙ 지원 혜택: 상금, 정부지원사업 연계, 투자유치 지원, 데모데이

 

✔ 어떤 사람에게 추천할까?

⊙ 뛰어난 아이디어·기술력을 보유한 팀

⊙ Pitching 능력을 강화하고 싶은 스타트업

⊙ 경진대회 수상 이력이 필요한 기업

⊙ 언론 홍보·VC 네트워크가 필요한 팀

 

추가로 보면 좋은 사이트

⊙ 도전! K-스타트업 공식 홈페이지:
https://www.k-startup.go.kr
(공고 시 메인 배너 노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교육부·국방부·문체부 등 주관부처 공고 페이지
 매년 트랙별 참가 조건이 다름

⊙ 창업경진대회 아카이브:
수상팀 발표자료·심사 기준 참고용

⊙ K-스타트업 통합경진대회 자료실:
PPT 예시, 발표 가이드, 평가 기준 다운로드 가능

 

5.  한눈에 보는 공통 신청 사이트 & 팁 도전


✔ 1) 모든 창업지원사업 신청 통합 사이트

⊙ K-Startup (창업지원포털):
https://www.k-startup.go.kr

→ 예비창업패키지·초기창업패키지·K-스타트업·센터 등 전체 지원사업 접수

 

✔ 2) 창업자라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추가 사이트

⊙ 기업마당: 정부지원사업 전체 확인
https://www.bizinfo.go.kr

⊙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 (창업 및 지원사업 문의 가능)

⊙ 창업에듀: 필수 교육 수강
https://www.entreedu.kr

⊙ 특허로 / 키프리스:
아이디어·상표 검색 및 특허 선행조사

⊙ 벤처기업확인제도:
초기 기업에게 유리한 세제 혜택 제공

 

 

2026년 정부의 창업지원은 예비→초기→도약 단계까지 단계별 지원이 완성된 구조입니다.
특히 2026년에는 디지털 창업과 글로벌 진출 지원이 강화되는 만큼,
초기부터 정부지원 인프라(K-Startup·창진원·기업마당)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